JPA 2

[Querydsl] Querydsl with Kotlin (Kotlin으로 querydsl 사용하기)

1. 의존성 설정 2. JPAQueryFactory 빈으로 등록하기 3. Querydsl을 사용할 인터페이스와 구현 클래스 만들기 4. 확인해 보기 kotlin으로 querydsl을 사용하기 위해 작업했던 내용을 기록으로 남겨보고자 합니다. 실제 코드는 https://github.com/gyuhwanhwang/my-book-gallery-kotlin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의존성 설정 먼저, querydsl을 사용하기 위해선 `jakarta.persistence.@Entity` 애너테이션을 스캔하여 Q-types를 만들어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kapt(Kotlin Annotation Processing Tool)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Kotlin에서도 Java 애너테이션 프로세서를 사용..

JPA/Querydsl 2023.09.07

[Querydsl] SpringBoot 3 Querydsl 적용해보기 (Dto반환)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 라는 도서를 읽던 중에 Querydsl 실제 적용 내용이 없어서, Querydsl 강의 들은 내용도 정리 할 겸 블로그에 글을 남겨보려고 합니다. 해당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버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 SpringBoot 3.1.0 - hibernate 6.2.2 - querydsl 5.0.0 버전이 바뀌면 적용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build.gradle 셋팅 먼저 build.gradle에서 querydsl 의존성을 추가합니다. 기본적으로 data-jpa의 의존성은 있다고 가정합니다. dependencies { ...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JPA/Querydsl 2023.06.21